나옹선사 탄신 703주년 탄신(誕辰) 다례(茶禮)에 차 한 잔 올립니다.
나옹선사 탄신 703주년 탄신(誕辰) 다례(茶禮)에 차 한 잔 올립니다.
  • 현담스님
  • 승인 2023.02.06 10: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자와 법의를 이제 부촉하노니    
돌 속에서 꺼낸 티 없는 옥이어라   
육근이 길이 청정해 보리를 얻었으니 
선정과 지혜를 모두 구족 하였도다

위의 게송은 1351년 신묘년 22일 나옹선사께서 원나라에서 견문을 넓히기 위해 중국 각지를 편력하면서 스승인 서천 지공스님을 만나고 원나라의 승려 평산 처림(12791361)과의 법거량을 하고 항주(杭州) 정자사(淨慈寺)에서 인가(認可)를 받은 게송(偈頌)이다. 평산 처림스님은 원나라 승려로서 절강성(浙江省) 항주 출신으로 호는 평산(平山)이고 임제종 양기파(楊岐派) 출신이다.

[서남사 대웅전 앞에서@사진=서남사 제공]
[서남사 대웅전 앞에서@사진=서남사 제공]

2023년 계묘년 정월 보름 나옹선사 탄신(誕辰)을 맞아 왕사 진영(眞影)에 신도분들과 함께 차 한 잔 올렸다. 정월 보름은 사찰마다 정초기도를 회향하고 삼재풀이의 방편법회와 방생법회나 삼사순례를 봉행하여 올 한해에는 각 사찰들이 정월보름 해제를 앞두고 오랜만에 사찰에서도 활기(活氣)가 넘칠 것을 생각된다. 코로나19로 인하여 3년여 동안 비 대면법회로 사찰을 찾는 불자와 일반인이 줄어들어 절간 갔다고 하였는데 지난달 30일부터 실내 마스크 의무도 해제되어 사찰을 찾아 부처님께 참배하는 분들께서 많아졌다. 그러나 정초에 함께하는 산림법회에 실질적으로 불자 스스로 법회에 동참하여 기도하고 정진하는 불자는 줄어들고 방편불교에 매달리는 것을 볼 때 포교방법의 혁신적인 전환이 필요한 것 같다.

[나옹화상 근영@사진=서남사 제공]
[나옹화상 근영@사진=서남사 제공]

위와 같이 서남사에서는 매년 음력으로 정월보름과 오월보름 나옹선사 탄신(誕辰)다례(茶禮)재와 열반(涅槃)다례(茶禮)재를 불자들과 함께 봉행하고 있다. 올해에는 대승불교 일불회원 사찰 김해 혜명사 혜명스님께서 방생법회를 봉행하고 신도분들과 함께 서남사 부처님을 참배하고 나옹선사의 진영(眞影)에 예를 갖추고 나옹선사의 법향(法香)을 그리워하여 선사의 깨달음의 대중들에게 회향의 불교가사 전편 405() 이두문자로 표기된 나옹왕사 승원가》〈노는 입에 염불하라일념(一念)으로 합송(合誦)하고 나옹왕사 탄신 다례(茶禮) 선양(宣揚)법회에 동참하였다. 나옹왕사 승원가는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하는 덧없고 숙명적인 인생들은 세상사 잡다한 인연들을 거두어들이고 탐욕에서 벗어나 부처님 전에 귀의하여 주인공(主人公)을 찾아 정진하여 서방정토(西方淨土)나 유심정토(唯心淨土)에 가지는 내용이다. 동참하신 불자 모두가 일념정진(一念精進) 염불(念佛)하여 각자 근기에 맞게 정토(淨土)를 구하였다.

[나옹왕사 문집@사진=서남사 제공]
[나옹왕사 문집@사진=서남사 제공]

또한, 나옹선사께서 어록(語錄)에 설한 휴휴암좌선문(休休庵坐禪文) 일부를 동참하신 불자들에게 소승이 멀리 있는 길 오셨는데 간단하게 아래와 같이 설하였다. 휴휴암좌선문(休休庵坐禪文)은 중국 원나라 말기의 선승인 몽산덕이화상(蒙山德異和尙 12311308)께서 지었다고 하는데 나옹선사께서 게송을 설하고 있다. 내용은 동정(動靜) 간에 정혜(定慧)쌍수의 불리선법을 좌()와 선()으로 구별해서 자세하고 생생(生生) 약동(躍動)하게 설명하고 있다. 휴휴(休休)라 함은 마음이 경계에 끌려다니지 않아서 모든 악업을 그치며 첫째 휴는 망념(妄念)을 두 번째 휴는 망연(妄緣)을 뜻하는 것으로 잡념과 악연을 다 쉬어 버린다는 의미이다.

[서남사 법당앞에서@사진=서남사 제공]
[서남사 법당앞에서@사진=서남사 제공]

夫坐禪者須達乎至禪하야 當自惺惺이니

截斷思想호대 不落昏沈謂之坐

在欲無欲하고 居塵出塵謂之禪이며

外不放入하고 內不放出謂之坐

無着無衣하야 常光現前謂之禪이라한다.

무릇 좌선이라 하는 것은 모름지기 선악을 초월한 지고 지선의 자리에 사무쳐서

마땅히 스스로 정신이 맑고 맑아 성성하게 함이니 온갖 생각을 끊고 또 끊되

혼미하고 어두운 데에 떨어지지 않는 즉 수마에 빠지지 않는 것을 라하고,

탐진치 삼독심이 가득한 욕심경계에 있으되 욕심이 일어나지 않고 몸이 티끌 세상에 처하되 마음은 연꽃처럼 활짝 피어서 티끌 세상에 벗어나는 것을 이라하며,

바깥 경계가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고 안 마음이 바깥 경계로 나가지 못하게 하는 것을 이로되 라 하고, 분별 주착심도 없고 어떠한 것에 의지하는 데도 없어서 반야의 지혜광명이 앞에 나타나는 것을 이르되 이라 한다. 금강경32분의 불취어상(不取於相) 여여부동(如如不動)의 경계인 것이다.

 

영덕불교문화원장 서남사 주지 철학박사 현담합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대구광역시 동구 해동로 5길18 101/401
  • 대표전화 : 053-425-1112
  • 팩스 : 053-982-0541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정원 / 통불교신문 후원계좌 / 농협 : 302-1286-8089-61 : 예금주 : 통불교신문
  • 법인명 : 통불교신문
  • 제호 : 통불교신문
  • 등록번호 : 738-35-00577
  • 등록일 : 2018-03-30
  • 발행일 : 2018-03-30
  • 발행인 : 裵哲完
  • 편집인 : 박정원 l 사장 : 아미따 성주스님
  • 통불교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통불교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tongbulgyo@naver.com
ND소프트